조선을 잊지 않는 연길 사람들
조선을 잊지 않는 연길 사람들
  • 이승제 기자
  • 승인 2011.09.08 19:30
  • 호수 1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AL 지구탐방②연길일기(上)_연길 풍경과 용정중학교의 아이들

선조들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한 핏줄 안에는 서로를 인식하고 정감가게 하는 무언가가 흘렀다. 머릿속으로는 이해하지 못 할 낯선 이에 대한 믿음과 온정이 연길 사람들에게서 느껴졌다. 연길에서는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의 모습을 가늠할 수 있었고, 사람들 사이에서 괜히 긴장할 필요도 없었다. 우리와 같은 말을 쓰고 드라마를 본다는 사실이 이상야릇하면서도 고향을 잊지 않고, 닮아가려는 연길 사람들. 그들을 기억하며 연길 일기를 쓴다.

북경에서부터 2시간이나 비행을 한 끝에 연길 공항에 도착했다. 연길의 첫인상은 오묘하다. 중국도 대한민국도 아닌 곳. 중국에 터를 잡아 발전한 도시이지만 꼭 과거 서울을 보는 느낌이었다. 버스를 타고 이동하며 본 낯익은 풍경이 그랬다. 길거리에는 한글이 한자와 함께 쓰여 있었고, 지나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한국의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들을 연상케 했다. 배짱 두둑한 대륙 사람들의 품성만큼이나 큼지막한 건물들이 들어서 있는 점은 중국과 유사했으나 그 모습이 투박하진 않았다. 한국의 여느 변방 도시의 풍경이 그대로 스며있었다. 동하와 해란강이 연길을 가로지르니 사진 속에서만 봐왔던 80년대 서울의 모습이 그려졌다.

용정중학교로 향하는 버스 안에서 조선족 가이드 안학림(25)씨가 “대한민국에 있는 것은 뭐든 연변에 있다”고 자신만만하게 말했다. 얘기를 들어보니, 연길사람들이 우리나라의 유명 연예인이나 지명을 따와 간판이름으로 쓴다는 설명이었다. 예를 들어, ‘한라산 식당’ 바로 옆에 ‘2AM노래방’이 자리 잡고 있는 형국이다. 2AM이 대세라는 소식을 들은 노래방 사장님들이 간판을 얼른 교체한 것이라고 한다. 불상사도 생겼다. ‘룸싸롱’이 한국에서 주로 언급되자 연길 사장님들이 아무런 검열 작업 없이 ‘룸싸롱’ 이름을 들여온 것이었다. ‘룸싸롱’은 청소년들이 들락거리는 일반 노래방 간판에까지 쓰였는데, 나중에 조선족 아이들이 대한민국에 와 ‘룸싸롱’을 찾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었다. 그렇다고 그런 사장님들을 마냥 미워할 수도 없었다. 그들이 우리 문화를 좋아하고, 이를 답습하려는 사실이 진실하게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연길사람들과의 간극은 그렇게 조금씩 좁혀져 갔다.

용정중학교에서 나를 맞이한 건 짙은 녹색의 체육복을 입고 뛰노는 아이들이었다. 초·중·고교생이 한 데 섞여 축구와 배구, 배드민턴 등을 하고 있었다. 조금은 꾀죄죄해 보이기도 했지만 궁상스럽기보다는 건강하고 순박한 시골아이들의 모습이었다. 사진으로만 접했던 그 나이 때의 엄마와 이모를 닮았다. 정겹고 반가웠다. 나는 스탠드에 앉아 수다를 떨며 땀을 식히고 있는 아이들에게 다가갔다. “저는 남조선에서 온 사람입니다. 잠깐 이야기 할 수 있을까요.” 연길 아이들과의 짧은 대화가 시작됐다.

처음 나는 아이들의 하루 일과를 물었다. 아이들의 얘기를 들어본 바 남한아이들이나 연길 조선족 아이들이나 다를 게 없었다. 공부하고 운동하고 노는 여느 아이들이었다. 가끔은 PC방이나 노래방을 선생님 몰래 슬쩍슬쩍 다니는 말괄량이기도 했다. 드라마를 보느냐고 물었다. 속으로는 <허준> 아님 <대장금>을 보고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놀랍게도 <시티헌터>를 본단다. “무시하지 마시레요.” 괜히 아이들의 빈축을 사고 말았다.

다음은 연길사람들이 한국말을 사용하는지 물었다. 모든 간판에는 한글이 꼭 쓰여 있으면서도 막상 가게 안에 들어가 한국말을 해도 이를 못 알아듣는 사람들이 많아 궁금했던 참이었다. 아이들은 조선어를 못 하는 사람은 한족 사람들이라고 답했다. 아이들의 말에 따르면 연길사람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언어가 조선어라고 한다. 중국어는 제 2의 모국어로서 조선어를 익힌 다음이고, 그 이후 영어나 일본어를 선택해서 배운다.

실은 연길에 사는 조선족사람들이 조선어를 배우는 일은 귀찮고 비효율적이다. 연길에는 절반이 한족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 공공기관들도 한족 사람들이 꿰차고 있다. 중국어만을 알아도 연길에서 살아가는 데 불편함은 없다. 그럼에도 우리말이 아직까지 이방의 지역에 남아있을 수 있던 까닭은 무엇일까. 아이들은 이런 우문에 당연하게 답했다. “조선 사람 아닙네까!” <다음호에 계속>

▲연길에서 만난 작은 꼬마. 연길 꼬마들도 양파링을 좋아할까?
 

▲연길 어느 한 작은 도로변. 한국의 외곽 도시 도로변의 풍경을 보는 것 같다.

이승제 기자
이승제 기자

 redhands@dankook.ac.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