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커머스의 득과 실
소셜 커머스의 득과 실
  • 박정규(기초교양교육원) 교수
  • 승인 2014.04.18 13:04
  • 호수 136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자의 연구실에는 현재 개인용 프린터가 없다. 그래서 이번에 전자 대리점이나 할인점과 같은 오프라인 마켓을 돌아다니면서 한 푼이라도 싸게 살 기회만 노리고 있는데, 한 지인이 온라인 공동구매 장터를 이용하면 훨씬 싼 값에 물건을 장만할 수 있다는 얘기를 하였다. 사실 필자는 그동안 온라인을 통한 구매를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다. 반신반의하면서 그가 가르쳐 준 사이트에서 검색을 해 보았다. 그랬더니 과연 제시된 공동 구매가는 대리점 판매가보다 무려 30% 이상 싼 금액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궁금증이 생겼다. 물론 아주 큰돈은 아니지만 물건 값을 송금해야만 물건을 받을 수 있다고 하면, 과연 물건을 보내준다는 쪽은 어떻게 믿을 수 있는지 궁금해진 것이다. 그동안 뉴스를 통해, 온라인 구매 사이트의 운영자가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의 목돈을 챙긴 후 홈페이지를 폐쇄하고 달아났다는 기사 외에도 몇 가지 불미스런 뉴스를 접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때는 남의 일이려니 하고 넘겼는데, 이번에 프린터를 사려고 하니 머리가 생각보다 복잡해졌다.


물론 소비자는, 같은 물건이라면 조금이라도 싼값에 구매하고 싶어 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 글을 쓰고 있는 필자조차도, 지금 상황으로는 온라인 공동구매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자꾸만 앞에서 제시했던 의문이 떠오른다. 만일 물건 값을 송금했는데, 하필 그때 그 사이트가 폐쇄된다면? 물론 기우(杞憂)일 수도 있겠지만, 이런 의문을 제기하는 또 다른 이유는, 만일 그런 일이 발생할 경우, 보상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가 궁금해서다. 필자가 들은 바로는 그것조차 쉽지 않다고 한다.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 일쑤인 데다, 소요 기간도 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거의 모든 책임은 소비자의 몫이라는 얘기가 된다. 이쯤 되면 또 다른 의문이 꼬리를 문다. 이렇게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시키다시피 하면, 이들을 관리하는 기관이 대부분 공공기관일진대, 도대체 감독 기관은 왜 있는 것이며, 과연 그곳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되는 월급을 받아갈 자격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필자의 머리에 떠오르는 또 다른 의문은, 이른바 공동 구매나 직거래를 통해 물건을 사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게 되면, 기존의 오프라인 시장에서 장사를 하는 사람들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 또한 당연지사일 텐데, 과연 그네들이 지금처럼 급속도로 바뀌는 세상의 변화에 제대로 대처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문은, 근처의 재래시장을 한 번이라도 둘러보면 결코 우문(愚問)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재래시장에서 물건을 파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어느 정도는 나이를 먹은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지금과 같이 세상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 저들의 일자리가 급격하게 줄어든다면, 조금 더 싸다고 무조건 온라인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과연 최적의 구매 방식인가 대해서도 조금 더 생각해 볼 일이다.


세상이 변하는 것은 어쩔 수 없겠지만, 새로운 방식의 등장이 기존의 방식을 거의 무효화하면서 급진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것보다 점진적인 변화가 가장 바람직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현명한 소비자로 살아가기가 생각보다는 어려운 일임을 잊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