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땐그랬지 3.삐삐에서 스마트폰까지
그땐그랬지 3.삐삐에서 스마트폰까지
  • 김소현 기자
  • 승인 2014.09.30 13:26
  • 호수 137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화기 너머로 느껴지는 온기
요즘 스마트폰 없는 생활은 불가능하다. 특히 ‘카카오톡’은 연락 방법을 송두리째 바꿔 놨다. 스마트폰 이전의 피처폰같은 경우, 단지 두 가지의 통신방법인 문자메시지, 전화밖에 없었다. 문자 한 통도 허투루 쓰지 않고 최대한 많은 이야기를 담으려 빽빽이 적어 보내곤 했다. 그렇게 알뜰히 써도, 항상 한 달이 채 끝나기 전에 문자메시지 서비스가 바닥났다. 이를 대신해 못 다한 이야기를 새벽 내내 밤샘 통화로 풀어내며 더욱더 상대방과 친밀해지고 돈독해졌다. 문자로는 전달이 안 되는, 목소리로만 전달될 수 있는 그 사람에 대한 내 마음이 더욱 쉽게 표현됐다. 하지만 지금 우리의 상황은 조금 다르다. 늘 데이터 걱정을 달고 살지만, 전화 사용한도에 대한 걱정은 많이 하지 않는 편이다. ‘카카오톡’이라는 채팅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데이터만 있으면 어느 누구와도 소통이 가능해져 직접 대화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이 그 연유이다. 더군다나 말풍선 하나에 대한 희소성이 없기 때문에 한 번에 정성을 담아 쓰는 경우가 거의 없다. 피처폰보다 약 10여 년 전에는 속칭 ‘삐삐’라고 불리는 호출기가 있었다. 전화라고는 집 전화와 공중전화뿐이던 시절, 집 밖에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삐삐는 단숨에 국민 통신 기계로 급부상했다. 삐삐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근처 공중전화에 가서 내가 연락할 사람의 번호를 누른 뒤 호출 받을 번호를 누르면 끝이다. 그 시절, 번호를 누르면서 “이 사람이 나에게 언제 연락을 줄까”, “지금쯤 호출 받았을까”하는 생각에 가슴 설레는 경험이 누구나 한 번쯤은 있었다. 물론 호출 받는 사람 근처에 전화가 없으면 연락이 불발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지만, 그로 인해 생긴 오해로 관계가 틀어지기보다는 웃어넘기며 다음 호출을 기다리는 여유를 보이곤 했다. 그만큼 더 전화에 대한 애착과 함께 그 사람에 대한 애정도 더해졌다. 사랑하는 사람과 가장 좋은 연락은 직접 대면하며 얘기하는 것이다.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쁜 생활 속에 여유 없이 지내면서 만남의 가치를 잊은 것 같다. 만나는 것이 어렵다면 이제 소중한 사람에게 말풍선을 보내는 대신 전화를 걸어보는 것이 어떨까. 호출 번호를 누르며 가슴 설레듯 우리도 상대방의 삐삐를 사용하던 시절 수신음에 가슴 설레 하며 그의 목소리를 기다려보자. 전화를 받으면 얘기해보자. 오랜만에 네 생각이 난다고. 김소현 기자 52120554@dankook.ac.kr
김소현 기자
김소현 기자

 52120554@dankook.ac.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