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버스 인 캠퍼스 11.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
캔버스 인 캠퍼스 11.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
  • 단대신문
  • 승인 2017.11.14 21:12
  • 호수 14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힘차고 솔직담백한 먹선의 진경산수
▲ 인왕제색도,(종이에 수묵담채,79.2x138.2cm,1751)

조선시대 후기에 새로운 진경산수화 양식을 창안한 화가는 겸재 정선이다. 정선에 의해서 진경산수화는 그 어떤 시기의 산수화보다도 한국적 개성이 넘치는 독특한 화풍의 성립에 성공했던 것이다. 정선은 젊은 시절에 중국의 여러 화풍들을 보고 익혔던 것으로 짐작되는데, 그중에서도 남종화 계통의 화풍을 깊게 숙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남종화법을 철저히 익힌 후, 그것을 넘어서는 완전히 새로운 독창적인 산수화법을 창안할 수가 있었다.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먹선의 움직임에 힘이 있고 솔직담백하며, 사물을 과감하게 단순화한 붓처리로 흑백의 대비효과가 있게 간략화해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의 진경산수화는 어딘가 거칠고 치졸한 듯 하면서도, 정돈된 형식적 세련성은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조형의 힘과 감동을 느끼게 한다.

정선이 이와 같이 전혀 새로운 산수화 양식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은, 종래의 화법적 테두리 안에서 자연을 바라보는 것을 거부하고 실제의 자연 풍경에 접해서 그것을 최대한 실감나게 그려보고자 의도했던 데에 있다. 그러자니 자연히 종래의 중국적인 화법으로는 우리의 산하를 제대로 그려낼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을 것이고 이러한 각성 속에서 정선은 그 나름의 새로운 화법을 모색하게 됐던 것이다.

<인왕제색도>는 정선의 나이 76세에 그린 것인데, 원숙한 조형적 안목과 기운생동(氣韻生動)하는 에너지가 살아있다. 화가의 나이 76세에 이렇게 힘이 넘치는 걸작을 그릴 수 있었던 것을 보면, 정선은 노년이 돼서도 그 창작열이 끊임없이 불타올랐던 드문 예다.

<인왕제색도>는 흑백의 대비효과를 적절히 이용해 조형적 긴장감이 넘치는 회화미를 보여주고 있는데, 암벽들로 이루어진 인왕산의 상부는 진한 먹을 과감하고 변화있게 사용해 중량감 있는 암산의 아름다움을 힘 있게 보여주고 있으며, 산 하부에는 안개의 흐름을 가득히 깔아놓아 검은색의 암산과 대조를 이루며 화면에 변화를 주고 있다. 화면에 그려진 안개의 흐름도 왼쪽 가장자리에서는 하나였다가 오른쪽으로 가면서 두 갈래로 나눠져 지루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고, 산의 상부에 진한 먹으로 그려진 크고 작은 바윗덩어리들의 다양한 형태감이 추상적 조형미마저 느껴지게 하고 있다.

이 다양한 바윗덩어리들은 화면에 검고 힘차게 칠해진 주봉우리에 의해 통일감을 얻고 있으며, 이렇게 해 표출된 중량감은 흰 안개의 흐름과 화면 아랫부분에 대담하면서도 부드럽게 단순화돼 그려진 나무들의 모습에 의해 대조를 이루며 조화를 얻고 있다.

어떤 이는 <인왕제색도>를 보고 “전경(前景)은 부감법이지만 원경(遠景)은 위로 올려다보는 고원법을 구사해 두 가지 시점을 사용했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이 그림에서 정선은 두 가지 시점을 사용했던 것이 아니다. 우리가 이 그림을 유심히 살펴보면 화가가 하나의 시점에서 자연스럽게 인왕산을 바라보며 그린 그림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인왕제색도>에서 굳이 화가의 시점을 찾는다면 화면 중앙에 깔린 안개 부위쯤 될 것이다. 그 정도의 눈높이에서 산을 바라보고 그리면 인왕상의 정상부위는 올려다본 것처럼 그려질 것이며, 화면 중앙에 흐르는 안개의 아래에 위치한 경관들은 내려다본 것처럼 그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선은 이 그림을 실제 경지를 바라보고 그렸던 것이다.

사실 정선의 산수화에서 엄밀하게 의식된 시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은 작가 자신이 공간논리적 시점의 존재를 자각하지 않은 데 기인한다. 정선의 산수화만이 아니라 동양화의 거의 대부분이 그러한데, 그로 인해 동양의 산수화에는 합리적 시점에 대한 무시현상이 드러나 보이는 것을 느낄 수가 있는 것이다.

결국 동양화에서 다시점(多視點)이 발견되곤 하는 것도, 논리적 시점의 존재를 자각할 필요를 느끼지 않은 데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은 르네상스 이후 대두된 서양화법과는 매우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보다 깊은 동서양의 세계관적․문화적 시각의 차이가 내재해 있다.

단대신문
단대신문

 dkdds@dankook.ac.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