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인에서 벗어나 다른 시선에서 관찰하기
낙인에서 벗어나 다른 시선에서 관찰하기
  • 이병찬
  • 승인 2019.06.05 19:41
  • 호수 146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사람을 만난다. 또한 그 사람들을 우리만의 시선으로 재단하고 평가하며 관계를 이룬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 혹은 편견을 가지기도 한다. 고정관념은 잘 변하지 아니하는, 행동을 주로 결정하는 확고한 의식이나 관념 혹은 어떤 집단의 사람들에 대한 단순하고 지나치게 일반화된 생각을 의미한다. ‘편견역시 고정관념과 맥락은 비슷할 수 있으나 단순히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이라는 사전적 함의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견을 가진 사람은 자기가 싫어하는 소수집단의 구성원들이 서로 유사하다는 고정관념을 가진다. 여기서 설명하는 고정관념은 개개인의 고유한 특성보다는 집단의 구성원 자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는 특정 지역에 살거나 특정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개인차나 특성을 고려치 않고 한결같은 시선으로 그들을 바라보기 때문에 한 개인을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된다.

 

천주교 집안에서 자란 필자는 고등학교 시절까지 동성애자들은 사회의 불순분자들이며 정신이상자 내지는 괴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성인이 된 이후 수많은 사람을 만났고 더 많은 관념을 접했다. 그리고 깨달았다. 그들은 괴물이 아닌 엄연한 인간이며 다른 점은 단지 사랑에 대한 관념뿐이란 것을. 본지 146012면의 취재는 그러한 깨달음의 재확인 과정이었다. ‘서울퀴어문화축제에서 봤던 퀴어들은 수상한 행동도 하지 않았으며 겉으로 보기에도 우리와 다를 바 없었다.

 

우리가 머릿속에서 하는 생각 차원의 고정관념은 편견의 감정으로 귀결되기 마련이다. 편견이라는 감정에 사로잡힌다면, 같은 행동을 하더라도 다르게 해석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내가 만난 어떤 사람은 고정관념은 가지지만 편견이라는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다고 말한다. 소크라테스 수준의 이성을 가진 상태라면 그럴 수도 있겠으나 불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우리가 느끼는 편견이라는 감정은 차별적 행동으로 이어지게 돼 있다. 어떤 사람에게 싫다는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다면, 결국에는 그 사람을 거부하거나 미워하는 행동을 하기 마련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협력의 상실을 초래해 나 자신에게까지도 손해를 끼친다.

 

그렇다면 우리는 사람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필자는 사람이 평면이 아닌 입체의 특성을 지닌 존재라고 생각한다. 어떠한 방향에서 보아도 똑같이 보이는 그림과 달리, 관점을 달리할 때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람을 판단할 때 보이는 그대로가 아닌 다른 방향에서, 그리고 그 사람의 시선은 어떨지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우리는 사람에게 쉽게 낙인을 찍곤 한다. 그러나 낙인이 상대에게 찍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눈에 찍히는 것이 아닐까.

이병찬
이병찬 다른기사 보기

 fifthseason@dankook.ac.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