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중국집의 변증법적 발전을 주목하다
헤겔, 중국집의 변증법적 발전을 주목하다
  • 이준형 칼럼니스트
  • 승인 2020.05.20 01:58
  • 호수 147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 헤겔

얼마 전 친구에게 들은 이야기다. 친구는 종종 배달음식을 시켜 먹는데 새로 생긴 중국집에서 이런 일을 겪었다고 한다. “처음에 짜장면을 시켜 먹었는데 양이 너무 적다고 생각했거든, 그런데 다음에 시킬 때는 양이 늘어서 온 거야. 그리고 짬뽕을 시켰는데 내 입맛에는 너무 맵더라고, 그런데 다음번에는 덜 맵게 배달돼서 온 거 있지.”


소름 끼치게 놀라운(?) 이 중국집의 비결은 간단하다. 친구는 주문할 때 주로 배달 앱을 사용하는데 이 중국집이 마음에 들어 적극적으로 리뷰를 남겼다고 한다. ‘너무 맛있게 먹었어요. 그런데 짜장면 양이 적었던 게 조금 아쉬워요', ‘짬뽕을 시켰는데 제 입맛에는 조금 매웠던 것 같아요!'하는 식으로 말이다. 그리고 중국집에서는 친구의 리뷰를 일일이 확인해 이를 반영했던 거다.

발전하는 세계를 설명하는 철학, 변증법

끊임없이 발전하는 게 어찌 이 집뿐이랴. 우리는 늘 무언가를 받아들이고, 또다시 무언가를 개선해 나가며 삶을 살아간다.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조금 더 나아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변증법’이라고 불리는 헤겔의 이론은 인간 사회의 이러한 역사성과 발전성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그에 따르면 모든 개념은 모순되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하나의 개념은 ‘정'이라고 불리며, 이에 모순되는 개념은 ‘반'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이 둘은 보다 종합적인 주장인 ‘합’에 의해 통합되는 과정을 거친다.

가령 ‘자유'라는 정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 반대쪽에는 ‘속박'과 ‘규제' 등의 개념이 존재할 것이다. 이 둘은 상호 모순으로 인해 서로 충돌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합으로서 ‘법'이라는 체계가 세워지게 된다. 물론 합의 과정에 이른다고 해서 모든 모순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뉴스를 통해 매번 법체계의 불완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 때문에 정반합의 과정은 더 높은 수준에서 계속 되풀이되며, 끊임없이 그 사이에서 도출되는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인간 의식 속에서도 이어지는 정반합의 과정

헤겔은 변증법적 과정이 우리의 의식 속에서도 이뤄진다고 봤다. 가령 중세시대와 지금의 사고방식을 비교해보자. 당대인들은 신이 존재하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며, 인간의 모든 삶과 역사는 신의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는 신의 상정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현세의 행복을 추구한다. 현재를 조금 더 가치 있게 생각하는 방향으로 의식의 변화가 이뤄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종종 역사적 사건이나 시대 변화를 통해 표면화되기도 한다. 헤겔이 예로 든 사건은 바로 프랑스 혁명이다. 그는 프랑스 혁명이야말로 하나의 시대적 전환이 이뤄졌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라고 생각했다. 더불어 그에 따르면 이러한 시기엔 정신의 혁신적 변화가 어느 개인을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당시 그가 주목한 인물은 바로 나폴레옹이었다. 헤겔은 그를 ‘절대정신'이라 부르며 시대 발전의 종점 단계를 그가 다다르게 할 것이라 믿었다. 물론 나폴레옹에 대한 그의 평가가 지금도 유효할지는 의문이 들지만 말이다.

인간 발전의 역사성을 파고든 철학자, 헤겔

헤겔의 철학은 무엇보다 인간 발전의 역사성을 주목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당대는 이성이 인류를 끊임없이 발전시켜나갈 것이라는 계몽사상이 주목받는 시기였다. 과학 문명과 이성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인간에게는 장밋빛 미래만이 남아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헤겔에 따르면 인간의 역사는 자유를 전개해가는 과정이다. 전제군주만이 자유로웠던 고대, 소수의 사람만 자유로웠던 중세와 근대를 거쳐, 모든 사람이 자유로워지는 현대로 옮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은 일방적인 발전이 아닌 정반합이라는 변증법적 과정을 거쳐 이뤄질 테고 말이다.

헤겔의 이러한 사상은 후대 사상가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마르크스는 그의 정반합적 사고관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가 공산주의 사회로 이양될 수밖에 없다는 유물론적 변증법을 발전시켰으며, 실존주의자들은 절대정신이 어느 개인을 통해 발현된다는 개념이 독재를 정당화하는 수단이 됐다며 이를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사상가 각자의 입장이 어떻든, 현대 철학이 그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철학 역시 마치 그의 사상처럼 변증법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극복과 발전의 과정을 이어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