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문제,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
  • 박수아 기자·신동현 수습기자 정리=노효정 기자
  • 승인 2020.05.26 23:13
  • 호수 147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사에 남기고 마음에 새기다
일러스트 김혜진 기자
일러스트 김혜진 기자

Prologue

최근 일본군 ‘위안부’ 관련 단체인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의 자금 투명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재조명되고 있다. 동시에 일부 지역의 ‘평화의 소녀상’이 훼손되는 일이 발생했으며 ‘위안부’가 자발적인 모임으로 일컬어지기도 했다. 이는 일부 세력의 백래시(진보적 변화에 대한 반발)로 인해 ‘위안부’ 문제 자체가 부정되는 모습으로 보인다. 이렇듯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현재 바람 앞에 놓인 촛불이나 다름 없다. 운명의 갈림길 앞에 선 지금,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신속한 해결을 위해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 되짚어보자.

일본군 ‘위안부’의 상처

일본군 ‘위안부’란 전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다는 명목으로 강제 동원돼 일본군의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한 여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일본이 만주사변(1931년)을 일으킨 이후부터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1945년까지 지속됐다.

일본군이 패전하고 살아남은 ‘위안부’ 피해자들은 귀국 후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후유증으로 끊임없이 고통받아야 했다. 피해 사실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두려워 적극적인 사회 활동도 못하고 가족제도에 편입되지 못한 피해자는 빈곤의 악순환에 몰리기도 했다. 그러던 중 1991년 8월 14일, ‘위안부’ 피해자인 김학순 할머니가 기자회견을 통해 처음으로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했다. 이날은 ‘위안부’ 문제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해 ‘위안부 기림의 날’로 제정했다.

그날 이후 우리나라는 역사적 사실을 바로잡고 국제사회에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론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적 노력을 무시하고 역사적 사실을 부인하는 일본의 만행은 끊이지 않았다.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군·관헌에 의한 ‘위안부’ 강제 연행 증거 문서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으며 일본 교과서 속 일본군 ‘위안부’ 기술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이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연구소 김소라 소장은 “위안부 문제를 단순히 당시의 전시 성폭력 문제로만 인식해서는 안 된다”며 “피해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이상의 상처는 그만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이하 2015 한일 협상)’을 체결했다. 이를 근거로 일본은 ‘위안부’ 문제가 이미 종결됐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협상 직후, 그 과정과 내용에 관한 논란이 제기됐다.

특히 당시 ‘위안부’ 피해자들은 협상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자신들이 배제됐다며 2015 한일 협상에 강하게 반발했다. 실제로 외교부는 연휴 기간에 협상이 급진전됐다는 이유로 협상 타결에 대해 피해자들에게 사전 통보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 협상 내용에는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지 않으며, 군의 행위는 ‘주체’가 아닌 ‘관여’로 표현됐다.

김 소장은 “2015 한일 협상 중 이 문제가 최종적, 불가역적으로 종결됐다고 표현된 부분이 있다”며 “이는 차후의 노력을 제외하기 때문에 성립 불가능한 표현”이라고 해당 협상을 지적했다. 이와 같은 이유로 2015 한일 협상은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당한 협약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최근 정의연의 자금 투명성 의혹이 불거졌다. 지난 7일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피해자 지원단체의 기금운용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을 한 이후 관련 언론 보도들이 쏟아졌다. 그러나 정의연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열어 일반 기부금 가운데 평균 41%가 피해자 지원에 쓰였으며 나머지는 ‘위안부’ 문제 연구, 추모 사업, 역사 교육 등에 사용됐다고 설명했다.

정확한 검찰 조사를 통해 정의연의 자금이 어떻게 사용됐는지, 할머니들을 위해 사용된 것이 맞는지를 조속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위안부’ 인권 운동의 의미를 더욱 성찰하고 일본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 피해자 치유에 기초한 해결이라는 목표를 향해 다시 나아가야 한다.

단국인도 함께 할 수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 먼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이하 수요집회)’ 참여가 있다. 수요집회는 매주 수요일 옛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진행된다. 1992년 1월, 그 시작을 알렸으며 지난주 제1440회를 맞이했다. 단일 주제로 진행된 집회로서는 세계 최장기간의 집회 기록이다. 이러한 수요집회는 다양한 사람들이 참가해 연중 약 5만여 명의 참가자들이 모인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하기 위해 경기도 광주시에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이 세워졌다. 방문 시 일본군 성노예제의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해외 각국 피해 여성들의 증언과 증거, 증언에 의해 재현된 위안소 모형이 존재한다. 현재는 일본군 성노예제에 대한 역사를 기록하고 교육하는 역사와 인권 교육의 장 역할을 수행 중이다.

간접적 노력 또한 존재한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성금 모금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인권을 위해 행동하고 폭력에 반대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마리몬드’와 여러 취약계층을 위한 후원 상품을 만드는 ‘우니베르숨’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후원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위안부’ 배지 혹은 케이스와 같은 제품 구매를 통해 ‘위안부’ 피해자를 후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에 대해 김대웅(경영학부·1) 씨는 “평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심이 많아 ‘위안부’ 배지를 달아본 적이 있다”며 “새로운 방법들을 알게 됐으니 앞으로 각종 상품을 구매할 때 후원 브랜드로 알아볼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할 계획”임을 전했다.

Epilogue

2020년 5월 25일 기준, 일본군 ‘위안부’의 한국 생존 피해자는 18명에 불과하며 생존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92세다. 이는 곧 피해자들이 생전에 진심 어린 사과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를 회피하지 않는 가해국의 태도와 청렴한 문제 해결이 요구되는 때다. 하루빨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못다 핀 청춘이 해방될 수 있길 바란다. 이젠 정말, 남겨둘 시간이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