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은 나누는 게 아니라 공존하는 것

2023-01-03     김희량 패션칼럼니스트
출처:

 

피구 경기는 운동장에 고작 금 하나를 그어놓고 시작하면 된다. 팀만 둘로 갈라놓으면 그만이었다. 그 선 하나는 어찌나 굵고 명료한지, 조금만 넘어서도 낙오되고 마는 절대적인 장벽이었다. 넘어설 수도, 밟을 수도 없는 숭고한 기준. 금 하나로 구분된 두 팀은 절대 섞일 수 없었고, 아무도 남지 않을 때까지 서로를 공격했다.

 

우리는 항상 세상을 둘로 나눈다. 남자와 여자, 보수와 진보, 동양과 서양, 선과 악. 물리적인 개념부터 이념적인 영역까지 딱 둘로 나누는 건 세상에서 너무 쉬운 일이다. 둘을 나눈 선명한 선은 넘을 수 없는 경계가 된다. 이제 오직 내 편과 상대편 이외에는 볼 수 없다. 세상일이 하나의 선으로 가를 수 있을 정도로 간단명료하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음에도 모두가 그 선만은 굳게 지킨다. 그렇게 우리는, 싸운다.

 

나도 그 싸움에 열심히 가담했다. 특히 2016년, 애인과 박 터지게 싸웠다.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로 온 세상이 떠들썩하게 페미니즘을 논하던 때였다. 우리는 각자 여자와 남자를 대변하며 격한 대화를 나눴다. 서로에 대한 적대감을 내뿜는 감정적인 싸움이 됐고, 우리 사이에 놓인 선을 더욱 선명하게 그어댔다.

 

우리가 싸움을 멈출 수 있었던 건 대화의 목적이 공격이 아니란 점을 상기시켰기 때문이었다. 애인은 내 적대적인 감정이 불편했고, 난 애인의 불편한 표정을 오해했다. 차분한 대화 속에 발견한 건 내 애인도 고정된 성 역할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는 것이었다. 여성과 남성의 대치는 서로를 적으로 인식하지만, 사실, 문제는 둘로 나뉜 대치 상황 그 자체에 있었다. 난 이때부터 세상을 둘로 나눈 엄격한 구분이 안타까웠던 것 같다. 그래서 들려주고 싶다. 둘로 나눴지만 나누지 않은 패션의 이야기를. 난 항상 패션의 양면성이 매력적이라고 말해왔지만, 명확한 이유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꼬집어보자면 아래와 같다.

 

패션이 서로 다른 영역을 어떻게 섞는지 살펴보면, 이분법적인 세상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깨닫는다. 패션도 매번 둘로 나뉘어왔으니까. 패션이 상업이냐 예술이냐에 대해서는 언제나 의견이 부딪쳐 왔고, 패션의 계층은 럭셔리 패션과 하위문화 패션으로 구분됐다. 하지만 어떤가? 패션은 선명하지 않다.

 

첫째, 패션은 상업적이면서도 예술적이다. 상업적 특성과 예술적 표현을 놀라운 방식으로 활용해왔으므로. 패션은 예술이 되기엔 같은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해내고, 유통하며, 재고를 잔뜩 쌓아놓고 판매하는 지극히 상업적인 분야다. 하지만 패션은 예술이다. 천재적인 디자이너는 패션으로 아이디어를 풀어놓고, 규칙에 도전하고, 메시지를 던진다. 패션이 이 역설적인 이중성 덕분에 얼마나 많은 소비자를 휘어잡을 수 있었는지 생각해보라.

 

둘째, 럭셔리 패션과 하위문화 패션은 섞일 대로 섞인다. 항상 패션의 두 계층은 유동적으로 섞여왔다. 하위문화 패션은 럭셔리 패션을 동경하면서도 그들과 구분되기 위한 개성을 찾고, 럭셔리 패션은 하위문화 패션으로부터 스스로를 구분 지으면서도 하위문화 패션을 수용함으로써 새로움을 찾는다. 스트리트 패션이 생겨나고 결국 럭셔리 패션에 침투한 흐름처럼 말이다. 럭셔리 패션과 하위문화 패션의 선이 명확하면서도 불명확했기에 나타났던 새로운 트렌드였다.

 

패션은 언제나 이중성을 끌어안는다. 세상을 둘로 명확하게 가를 수 없다는 점을 인정했고, 그래서 모호해진 구분을 뒤섞어 새로운 방향성을 찾아낸다. 이런 패션의 모습에서 나는 세상을 살아갈 힌트를 얻었다. 서로 다른 2개의 영역이 대치하고 적대한다면 1+1은 그저 2일뿐이지만, 조합하고 섞어본다면 1+1은 3이 될 수 있다. 내가 애인과 싸우는 것보다 대화를 선택했기 때문에 새로운 결론을 얻을 수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그 순간 우리는 두 개의 관점이 아닌 또 다른 하나의 종합된 관점을 얻을 수 있었다.

 

피구 경기에서 팀을 구분한 건 경기를 통해 얻는 즐거움을 위한 것이다. 경기가 종료되면 상대 팀과 악수하며 인사하듯 경기에서 그어놓았던 금은 영원하지 않다. 둘은 구분된 것이 아니라 함께 있는 것이다. 서로 적대시하는 사이가 아니라 서로 못 보는 부분을 알려주는 사이다. 시각을 넓혀주는 사이고, 함께해서 완전해지는 사이다. 세상은 원래 그렇게 무 자르듯 나뉘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적대하지 말고 포용해보자. 그럼 어떤 세상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지 궁금하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