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생태주의 도시론 고찰

오시이 마모루의 <패트레이버 The Movie 1st>를 중심으로

2010-03-23     이원상(도시계획·부동산·05졸) 한국토지주택공사 주

 

초고층의 마천루와 쓰러져 가는 재개발 군락촌이 공존하는 도쿄거대 자본도시의 이분법적 도쿄는 자본구조의 공고화 도시는 인간 내면과 시간 연대기에 따라 공간 변형 1999년, 근미래의 도쿄(東京) 경찰 특차 2과는 이족 보행 인간 탑승형 레이버(로봇) 범죄 전담팀이다. 홋카이도 출신인 미모의 여경 이즈미 노아와 일본 거대 레이버 메이커인 시노하라 중공업 사장의 아들인 시노하라 아스마는 특차 2과에 배치되어 있다. 이야기는 도쿄의 재개발과 재개발 난민들의 소외, 그리고 재개발에 따른 사회 아노미 속에서 정신적 공황증세를 사회범죄로 표출하려고 하는 천재 프로그래머의 치밀한 범죄(레이버 시스템 프로그램 버그)계획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도쿄는 초고층 마천루의 신세기적 랜드스케이프를 자랑하면서도 한편에서는 다 쓰러져가는 재개발 군락 촌이 도시 하천변을 따라 길게 포집한 상태이다. 원주민들은 재정착의 기회를 잃어버린 채 거대 부동산 투기 자본과 건설기업들의 이윤창출, 그리고 토지이용의 고도화 논리에 떠밀려 갈 곳을 잃었다. 공사 작업용 레이버의 시스템 고장으로 기체는 폭주하면서 재개발 촌락을 부스는 난동을 피운다.

특차 2과의 문제거리 조종사(mad policeman)인 오오타 이사오는 난동 레이버를 제거하기 위해서 경찰기동형 레이버를 사용하지만 결과는 낙후 밀집 지역의 파괴로 이어진다. 철거지역에 철거난민들은 그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으며, 유령도시를 방불케 하는 저층 낙후 거주지는 도시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병폐의 물리적 증언이 되고 있다. 도시생태주의 관점에서 거대 자본도시의 이분법적 풍경은 변화하는 도시의 내부적 속성과 자본구조의 공고화에 적응해 가는 인간집단의 현상적 풍경이다. 고전 도시생태학은 대도시의 급격한 공업화와 신규노동력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도시구조가 팽창하고 도시구조자체가 변모한다 점을 주목하였다. 도시생태학자인 파크(Park)는 생물학적 시각에서 도시공간을 주목하였고 도시구조적 변화를 도시환경의 변화와 이에 적응하려는 사회현상에서 찾으려 했다.

도시가 인간 내면과 시간 연대기의 사건에 따라 공간이 조직되고 변형된다는 것이다. 파크는 사회-공간의 경쟁 속에서 공동체(community)가 투쟁(competition), 적응(accommodation), 동화(assimilation)하면서 사회를 만들어 간다고 보았다. 토지이용이 도고화 되는 도쿄에서 재개발 지역이 늘어나고 복합 초고층화 되는 토지의 고도화는 자본의 경쟁적 속성을 보여준다. 이후 도시 공간은 경쟁 속에서 파생되는 각종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정을 추구하고자 하는데 이것이 적응단계이다. 이는 곧바로 공간의 논리가 된다.

이러한 파크이론의 문제는 도시공간을 생물학적으로 접근하면서도 그 해석에 있어서는 문화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고전생태학이 비판 받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도시공동체 현상의 원인으로 개인의 동기나 문화적 차원을 간과하는데 있다. 극 중 철거민 정서를 가지고 있는 천재 프로그래머는 신형 레이버(로봇)용 작동체계 프로그램(일종의 레이버 윈도우)을 개발하게 되며 대형 소프트웨어사와 밀월관계인 정부 조직의 결정에 따라 모든 레이버에 이 신형 프로그램이 재설치 된다. 천재 프로그래머는 범죄의 발단이 되는 이 신형 프로그램의 재설치를 목도한 시점에서 자살한다. 고층 건물이 없는 재개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레이버의 이상 폭주 현상은 도시 미기후에 따라 바람이 텅빈 구조물을 공명시켜 일어나는 저주파와 이에 반응하는 레이버 프로그램의 버그가 그 원인으로 밝혀진다.

 도쿄 인근 바다에 건축 중인 거대 복합 구조물 ‘바벨’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태풍을 만나면서 일으키는 저주파로 인해 동경에 산재한 수천대의 레이버가 폭주하는 카오스 상황에 봉착했다. 태풍의 열도 상륙 직전 특차 2과 패트레이버 대원들의 고도 거대자본의 상징인 ‘바벨’을 철거하고자 바벨 내부로 급파된다. 그러나 상황은 악화되고 수백대의 산업용 레이버들이 프로그램 버그 상태가 되면서 공격적으로 돌변한다. 이 모든 범죄의 원인이 일개 프로그래머의 정서적 충격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공간구조의 재편에 따른 인간 아노미 현상에 기인하고 있다. 후기 도시생태학의 내용은 이와 같은 내용을 잘 담아내고 있다.

 즉 ‘환경의 변모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하는 질문에 집중하면서 생태학적 조직의 내용을 생계활동으로 규정한다는 점이다. 낙후지역 재개발에 따라 철거민은 정주지를 잃으면서 동시에 생활을 위협받는다. 이와 같이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축조하면서 도시를 설명하려는 생태주의 도시론은 오늘날 급격히 변모해가는 공간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아직 유효하다.

이원상(도시계획·부동산·05졸)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