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그리고 요리의 시작
지금부터 당신이 요리사가 되었다고 상상해보자. 실력을 인정받은 당신은 유명 프로그램 제작자로부터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음식을 만드는 방송에 출연해 달라는 제의를 받게 됐다. 프로그램의 핵심은 ‘얼마나 그 지역의 특색을 살리면서도 당신의 정체성을 잘 드러낸 요리를 만들어 내냐’는 것. 만약 당신이 제의를 받아들였다면 어떤 문제를 고민해야 할까? 아마 여러 문제가 있겠지만, 이 것만큼은 반드시 고민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바로 ‘지역별로 다른 물맛’ 말이다.
요리가 물에서 시작해 물로 끝난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음식물을 깨끗이 씻어내는 일부터 익혀내는 일, 간 맞추는 일까지 물은 어디 하나 빠지는 일이 없다. 물이 음식의 맛에도 영향을 미치는 건 당연지사. 갖은 재료와 양념을 넣어 만든 우리집 김치보다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 새우젓 등 기본양념만 넣고 슥슥 버무린 시골 할머니의 김치가 맛있는 또 다른 이유가 여기 있다.
문제, 아니 철학의 시작
철학에 있어서도 물은 처음부터 문제, 아니 시작이었다. 기원전 6세기경, 세상의 근본을 물에서 찾는 사람이 등장한 것이다. 서양 최초의 철학자인 탈레스(B.C.624~546)는 주변에서 일어나는 각종 현상을 자연적이고 이성적인 방식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탈레스 이전의 사람들은 모든 현상의 원인을 ‘신’에서 찾았다. 천둥이 치면 하늘에서 제우스와 헤라가 다투고 있다고 여겼고, 폭풍우가 몰아치면 포세이돈이 화가 났다는 식이었다. 하지만 탈레스는 이들과 달리 ‘신이 아니라면 무엇이 만물의 근원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가 생각하기에 만물의 근원은 ‘생명에 양분을 제공하고 생명을 유지시켜주는 것’이어야 하며, ‘변화와 운동의 근본적인 원인도 자신 안에 갖추고 있는 것’이어야 했다.
그리고 그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이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수 불가결하며 얼음과 수증기로도 쉽게 변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는 마침내 모든 물질이 최소한 어떤 단계에서는 물로 존재했을 것이란 결론에 다다랐고, 이런 추론을 바탕으로 물을 만물의 근원으로 지목했다.
탈레스, ‘철학’이란 요리를 시작하다
오늘날 우리는 기존의 틀을 변형해 만든 수많은 음식들과 마주한다. 흔히 먹는 ‘비빔밥’은 지역별 특색에 맞춰 육회와 숙주나물을 얹은 진주비빔밥, 생미역과 국파래가 들어가는 통영비빔밥 등으로 바뀌었으며 나폴리의 빈민들이 먹던 ‘피자’는 바질과 토마토소스, 치즈가 올라간 마르게리타 피자, 도우 가득 치즈를 자랑하는 시카고 딥디시 피자 등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누군가에 의해 비빔밥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나폴리의 빈민들이 피자가 아닌 다른 음식을 주식으로 삼았다면, 과연 오늘날 비빔밥과 피자가 지금 우리의 식탁에 오를 수 있었을까?
우리는 이미 탈레스의 주장에 틀린 부분이나 결함이 많음을 알고 있다. 세상의 근본물질이 물이 아님이 과학을 통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탈레스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유는 사상이 치밀하거나 독특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의 철학이 가치를 가지는 이유는 ‘우리 주변의 다양한 현상을 초자연적 대상이 아닌 자연 안의 무언가를 통해 설명하려고 한 최초의 시도’였기 때문이다.
무언가를 다르거나 더 낫게 만들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일은 이런 노력에 비해 수천, 수만 배는 더 어렵고 고통스러운 작업이다. 신화에 의존하던 기존의 믿음을 전복하고 탐구를 통해 새로운 가치관을 만들어낸 탈레스는 서양의 가치관 전반을 요리한 최초의 사람이라 할 수 있다. 마치 밥 위에 고명을 얹어 비빔밥을 만들어낸 어느 선조 그리고 처음으로 피자를 빚은 이탈리아 어느 노점의 상인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