⑫동양철학에 관하여
⑫동양철학에 관하여
  • 이종우(성균관대 유학동양학부) 강사
  • 승인 2009.08.19 17:04
  • 호수 12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양철학은 '미신'이 아닌 나름대로의 논리를 가진 학문

[우문] 교수님 직함이 ‘유학동양학부 강사’이셔서 묻는 질문입니다. 서양철학은 학문으로 인정하지만, 동양철학의 경우 미신취급을 받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외부의 것을 알기에 앞서 내부의 것을 알아야 한다’는 말도 있듯이, 동양철학이 미신이어도 배울 가치가 있는지, 미신이 아니면 동양철학도 어떤 논리체계를 바탕으로 형성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현답] 중학교『도덕』, 고등학교『전통윤리』와『윤리와 사상』에 동양 철학이 나오기 때문에 미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물론 필자도 가끔 동네 미장원에서 이발을 하다보면 아줌마로부터 동양 철학이 사주, 관상, 점치는 것이냐는 질문을 받기 때문에 미신이라고 믿는 것도 무리는 아니지만 그것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동양철학에서 동양은 동쪽이라는 뜻의 Asia에서 나온 말이고 그 어원은 앗시리아어‘Asu'라고 합니다. 동
양은 유럽을 중심으로 한 것이므로 근동, 중동, 인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를 가리키는 것이며 그것은 유럽의 관점에서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그것이 문화적으로 공통점이 별로 없습니다. 그러므로 동양철학의 범주를 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구태여 정한다면 중국철학과 인도철학을 들 수 있습니다. 인도철학을 대표하는 것은 베다와 불교라고 할 수 있는데 치밀한 논리 구조이기 때문에 독일철학과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중국철학은 제자백가와 인도에서 건너온 불교철학이 있습니다. 제자백가는 9 내지 10가지가 있으나 크게 유가, 도가, 묵가, 법가로 분류하고 그 중에서 유가와 도가가 후세에까지 전승되었습니다. 유가는 주로 윤리와 정치사상의 측면, 도가는 형이상학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중국의 불교는 장자의 영향을 받아서 이루어졌다고 알려진 선종(禪宗)이 있습니다. 그것은 공통적으로 치밀한 논리로 구성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단지 송나라 때 불교의 화엄사상과 노자의 리(理)와 기(氣)의 개념을 이용하여『논어』와『맹자』등 유가의 경전을 해석하는 주자학(朱子學)이 있습니다. 그것이 불교의 영향을 받아 치밀한 논리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물론 그들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것을 이단이라고 비판하기도 합니다. 훗날 명나라 때 왕수인은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심학(心學)을 세웠는데 이것은 그의 호를 따서 양명학이라고 칭합니다. 중국은 한나라 때부터 유가를 국시로 정했고 우리는 고려 때 불교, 조선에서는 유가였지만 주로 주자학이 그 역할을 해왔습니다.

 따라서 조선시대는 주자학이 주류였습니다. 주자학은 기(氣)의 운동으로 인하여 존재의 생성과 소멸이 이루어지고 그 원인이 되는 것이 바로 리(理)라고 합니다. 그러나 리는 무형(無形)이므로 감각기관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입니다. 리가 기운동의 원인이기 때문에 원리 또는 법칙이라고 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것에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리와 기는 서로 떨어져 있지 않으면서도 붙어있지 않은 존재로서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마치 경첩에서 가운데의 지도리는 리, 양쪽에 붙어있는 날개는 기와 같습니다. 그것이 모두 경첩이기 때문에 하나이지만 지도리와 날개이기 때문에 둘입니다. 하나이면서 둘이라면 역설로서 모순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을 지도리와 날개에 비유했을 때 모순이 아니라 정합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한 논리는 주자학에서 종종 나타나고 그것이 특징입니다. 그것은 불교의 화엄사상에서도 나타나는데 주자학이 그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예로서 리(理)와 사(事)를 들 수 있는데 전자는 본체이고 후자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그 관계는 하나가 아니면서 다르지 않다는 것입니다.[불일불이(不一不異)] 그 역시 역설적 모순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을 물과 물결로 비유한 것을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과 물결은 다르지 않으면서도 구별이 되기 때문에 하나가 아니므로 논리적으로 정합성을 갖습니다.

 
 이처럼 동양철학은 나름대로 논리를 갖고 있습니다. 다만 그것이 서양 철학의 근원이 되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와 다를 뿐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