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몰돼버린 인간애를 찾아서
혹성탈출 시리즈는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하다. 슈퍼맨만큼은 아닐지라도 적어도 스파이더맨 정도의 익숙함을 선사한다. 어쩌면 이미 전작을 통해 스토리 구조가 알게 모르게 학습돼있을지 모른다. 유인원의 반란과 인간의 몰락. 이것이 이 영화의 구할 이상이다. 다만 이 뻔한 이야기를 감독이 어떻게 표현했는지가 영화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겠다.
영화는 실험의 실패로 인해 전 세계인을 죽음으로 몰아 넣은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유인원의 우두머리 ‘시저’는 그가 이끄는 무리들과 함께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던 도중 말콤 일행과 마주치게 된다. 연료가 떨어진 인간들은 댐을 가동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유인원의 서식지에 발을 들일 수 밖에 없고 그때부터 유인원과 인간의 대립이 시작된다.
이 시점부터 영화에서는 유인원(시저)과 인간(말콤)의 모습이 교차된다. 가족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장면에서도 주변의 만류에도 평화를 주장하는 모습마저도 둘의 모습은 거의 흡사하다.
문제의 동상이몽이 시작되는 것도 이와 동시다. 시저와 말콤 일행은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위태함 속에서도 평화를 도모하려 하지만, 사실 인간무리들은 뒤에서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으며, 이는 유인원 역시 마찬가지다.
시간이 지날수록 인간은 무기에만 의존할 뿐 나약하기 그지없다. 그에 반해 유인원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진화한다. 그들이 물질문명으로 대변되는 ‘총’을 손에 대고서부터 그들은 몰라보게 ‘인간다워’진다. 재미있는 부분은 바로 여기다. 인간은 유인원을 ‘그저 짐승일 뿐’이라고 멸시하고, 유인원들은 서로를 죽이지 않는다고 인간보다 나음을 주장하지만 진화를 거듭할수록 흡사 인간의 추악한 면모만 닮아가기 그지없다. 인간을 증오하는 유인원인 ‘코바’는 우두머리인 시저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권력욕을 이기지 못하고 몰래 음모를 꾸미는 등 점점 혐오스러운 캐릭터로 변모한다. 결국 그는 스스로가 가장 인간과 같아지기를 자초하게 된 것이다.
이 영화에서는 절대적인 선악이 없다. 심지어 발전할수록 영악스럽고 가증맞아지는 ‘코바’역시 절대적인 악이라고 볼 수 없으니 말이다. 인간과 유인원 무리는 서로를 불신하고 기만하지만 그 속에서 유대감을 쌓는다. 폐허가 된 그 속에서 한줄기 희망을 찾는다. 가장 합리적이지만 동시에 가장 비현실적인 방법인 ‘평화’라는 것은 이 희망으로부터 비롯된다.
영화자체는 추천할 만하다. 개인적으로는 믿었던 ‘코바’에게 총을 맞는 우두머리 이름이 하필 ‘시저’인 것이 재밌었다. 전작부터 계획돼있었던 것인지 궁금해진다. 그리고 과연 감독에게 묻고 싶어진다. 말콤이 그리도 열심히 돌리려고 한 것은 그저 에너지에 불과했는지, 혹시 저 깊숙한 곳에 매몰돼버린 인간애는 아니었을까. 러닝타임 250분
민수정 기자 freihe@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