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
  • 유경진 기자
  • 승인 2019.03.20 20:37
  • 호수 14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경진 취재기자
            유경진 취재기자

 

대한민국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 중에는 평등권이 있다. ‘누구든지 인종, 성별, 장애 등에 의하여 정치·사회·문화적 생활 등 모든 영역에서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이 사회를 살아가다 보면 무심코 남을 차별해 버리는 경우가 더러 있다. 모든 일을 자신의 기준으로 맞추게 되면 소외되는 사람은 필연적으로 생기기 마련이다.

우리나라는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수의 의견을 선호한다. 그렇다고 해서 소수의 의견이 무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익 면에서는 소수보다는 다수의 이익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결국 다수의 편리를 위해 소수의 불편을 등한시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지 12면에 담겨있는 무인 매장도 그러한 경우이다. 평소 기자가 자주 이용해왔고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무인 매장이지만 이러한 변화는 소수에게 불편을 안겨줬다. 주문을 오직 키오스크를 통해서만 할 수 있는 매장에 방문했을 때 나이 있는 사람들은 찾아볼 수가 없었고 기자는 한 시각장애인이 “나에게 키오스크는 그냥 두꺼운 유리판을 만지는 것뿐이다”라고 인터뷰한 기사를 접했을 때 반성의 시간을 갖게 됐다. 내가 당연하게 쓰고 있는 것이 누군가에게는 두려움의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었던 것이다.

무인 매장이 가파르게 성장함에 따라 매장 이용에 소외되고 있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물론 무인 매장은 인건비를 줄여준다는 최대의 장점이 존재하기에 무인 매장 도입을 반대할 수만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에 취약한 노인들과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해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 결국에는 다 같은 대한민국 국민이므로 모두가 더불어 사는 사회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역지사지의 생각을 가지고 우리도 그들과 똑같은 눈높이에서 사회를 바라본다면 그들의 감정을 더욱더 잘 느낄 것이다.

기자는 사회부 기자의 꿈을 갖게 된 이후로 언젠가 우리 사회의 약자들을 위한 기사를 쓰기로 마음먹었다. 우리 사회 이면에는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돌봐야 할 부분이 분명히 존재한다. 소외 계층을 포함해서 모두가 이 사회에 녹아들어 더불어 잘 살아갔으면 하는 마음이다.

비장애인이 살기 편한 사회가 장애인에게 독이 되면 그건 차별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장애인과 장애인 모두가 상생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함께 더불어 잘 살아가는 사회를 위해서는 우리도 주변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사회적 약자, 그들이 사회에 외치는 목소리를 우리가 귀 기울여 들어주지 않는다면 그들의 목소리는 세상 밖으로 나오지 않고 그대로 묻혀버리고 말 것이다. 이는 결국 사회의 악순환이 되어버리고 만다. 그러한 사태를 사전에 미리 방지하기 위해 우리는 그들의 목소리를 잘 들어주고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존중해줘야 한다. 그들 또한 존중받아야 할 마땅한 존재이기에.

 

유경진 기자
유경진 기자 다른기사 보기

 kjin08@dankook.ac.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