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영향 가장 많이 받은 곳, 제주
몽골의 영향 가장 많이 받은 곳, 제주
  • 명욱 칼럼니스트
  • 승인 2023.03.07 16:01
  • 호수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 한국 소주의 기원을 찾아서
▲ 제주도의 상징인 물허벅.
▲ 제주도의 상징인 물허벅.

학창 시절 한국사 시험에 자주 등장했던 실학 서적이 하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이었던 지봉유설(芝峯類說)이다. 조선 중기, 우주와 자연, 지리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하고 서양의 문물을 소개한 20여 권의 이 책은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하며, 조선의 실학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고서적 중 하나다. 재미있는 것이 이 지봉유설에는 우리나라 소주의 유래가 나와 있는데, 소주가 몽골에서 들어왔다는 것이다. 몽골의 직접적인 교류가 있었던 시기는 고려시대. 바로 몽골 간섭기이다. 

그렇다면 어느 지역이 당시 몽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을까? 바로 몽골이 일본에 원정을 떠나기 위해 만든 병참기지가 있던 곳, 바로 안동, 개성, 합포(마산), 그리고 제주도다. 동시에 고려에 행정부를 설치하기도 했는데, 평양의 동녕총관부, 함경남도 영흥의 쌍성총관부, 그리고 제주에 탐라총관부, 이 세 곳에 들어서게 된다. 즉, 한반도 중에서 몽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은 제주도다. 따라서, 한반도의 소주 시작은 제주도부터라는 유추가 가능해진다. 

제주도의 토속 식혜 겸 막걸리라 불리는 낮은 도수의 쉰다리란 술이 있다. 그 어원은 슌타리(Shuntari)로 슌타리는 몽골어로 우유, 요구르트를 뜻한다. 

또한 제주도의 상징 중 하나인 물허벅은 아낙네들이 물을 운반할 때 쓰던 작은 항아리와 같은 도구이다. 부리가 좁고 배가 많이 나왔으며, 굽은 평평해 운반하는 사람이 등에 지고 다녀도 흔들리지 않아 물이 잘 새지 않는다. 역시 이 물허벅도 최근에 그 유래가 발표됐는데, 그 어원이 바로 ‘허버'. 몽골어로 바가지란 뜻이다. 여기에 물이란 단어가 붙어서 물허벅이란 말이 나오게 됐다. 

이런 제주 문화의 기원을 찾는 과정에서 소주의 문화가 몽골에서 전래한 것임은 확실하다. 하지만 이는 제주도만의 문화가 아니다. 제주도가 몽골 문화로 쉰다리나 고소리술이 생겼다면, 삼별초의 제주도 이전 본거지였던 진도에는 진도홍주가 생겨났다. 병참기지였던 안동에는 주권을 회복한 후 안동소주가 사대부들 사이에 유행했으며, 동녕 총관부가 있던 평양에는 문배술, 감홍로 등 유명 전통 소주가 생겨났고, 이러한 모든 전통주를 무형문화재 분들이나 장인들이 현재도 이어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