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필수교육을 외치다 ② 경제
청년들, 필수교육을 외치다 ② 경제
  • 서울권대학언론연합회 연합취재팀
  • 승인 2022.11.08 14:43
  • 호수 149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대로 된 금융 교육 없이 사회로 나가는 청춘

금융사회에서 허우적대는 청년들 
코로나19 확산을 기점으로 저금리정책이 이어지자 많은 2030 청년들은 주식과 코인 열풍에 빠져들었다. 금융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를 기준으로 가상 자산에 투자한 2030 세대의 비율은 전체 투자자의 약 5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투자로 많은 이익을 거둘 것이란 예상과 달리, 올 상반기 고물가·고환율·고금리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투자에 뛰어들었던 사람들에게 거대한 빚과 숙제로 돌아왔다.


지난 4월 30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발표한 ‘세대별 다중채무자 숫자’에 따르면 2019년 말 대비 2021년 말 20대의 다중채무자(여러 곳의 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사람)는 21%가량 증가했다. 타 연령대의 비율은 줄어든 것에 비해 압도적인 증가폭과 증가율이다. 여신금융협회와 금융감독원의 최근 3년간 ‘여신사 2030 가계 대출 신규취급 추이조사’ 결과 작년 20대가 카드회사나 캐피탈처럼 대출의 기능만을 갖춘 여신사에서 빌린 돈은 1조 2천억 원가량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대출액 증가율은 98%로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다. 20대는 본격적인 사회생활을 시작하기 전이거나 소득이 낮은 등 금융 활동이 많지 않기에 비교적 대출이 쉬운 여신사로 몰린 것으로 추정된다. 다중채무자를 비롯해 가계대출 비율이 급증한 전례는 찾기 어렵다. 

 

청년층 “금융지식 부족해” 어려움 호소 증가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층의 금융 지식은 굉장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은 2020년에 전국 만 18~79세 성인 2천400명을 대상으로 ‘2020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금융이해력(합리적이고 건전한 금융생활을 위해 필요한 금융 지식·행위·태도 등 금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정도)은 OECD국 평균수준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청년층(18~29세)은 64.7점으로 전체 평균(66.8점)보다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권대학언론연합회 연합취재 자체 설문조사 결과 ‘금융(경제) 지식 부족으로 인해 곤란하거나 어려운 상황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소개해달라’는 질문에 전체 답변자의 과반수가 금융 지식 부족으로 기사나 서적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한양대 손정식(경제금융) 교수는 “사회생활의 80% 이상이 경제생활이고 절반 이상이 금융과 관련돼 있지만, 금융교육이 지금껏 소외돼 온 것은 문제”라며 금융이해력 부족 문제는 광범위하게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연합취재팀 자체 설문조사(기간: 10월 17일 ~ 10월 28일, 수도권 소재 대학생 204명 응답)
연합취재팀 자체 설문조사(기간: 10월 17일 ~ 10월 28일, 수도권 소재 대학생 204명 응답)

 

금융 교육의 현 주소는? 
위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교육기관에서 이뤄지는 금융교육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현재 초·중등 교육과정에는 금융교육을 필수로 시행하고 있지 않다. 지난 2019년 금융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초·중등 교육 내 금융 과목의 비중은 연평균 9시간에 불과했다. 특히 고등학교 수능 과목에는 ‘경제’ 과목이 유일한데,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지 않고 수강인원도 적어 개설조차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작년 11월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비교적 선택 인원이 적은 경제 과목은 일반선택과목에서 빠지면서 금융교육의 비중이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입시 위주로 이뤄지는 초·중등 교육을 교육 부족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소연 연구위원은 “경제교육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대학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뒷전이 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초·중등 교육뿐만 아니라 고등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금융교육은 부족하다. 대학에서 금융교육을 받기 위해선 경제·금융 관련 학과의 전공 수업을 들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비전공학생들이 경제 전공 수업을 듣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국외대 이수진(EICC·2) 씨는 “경제학 비전공학생인데 대학에서 경제 수업을 들을 때 아무래도 수준이 높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학생들은 대부분의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 지식을 뉴스나 인터넷에서 얻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체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육기관에서 지식을 습득했다고 답한 비율은 35.3%에 불과했다. 실생활에서 금융 지식이 필요함을 체감하고 있지만, 교육기관에서 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화여대 한재희(사회·2) 씨는 “주식이나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등 여러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만 모르는 것이 많았다”며 “유튜브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지만, 주변에서 잘못된 정보로 인해 사기에 연루되거나 금전적 손해를 겪은 사례도 많이 봤다”고 말했다.

 

금융 문맹, 눈 뜨고 코 베이지 않으려면 
 전문가들은 금융교육의 양적·질적 측면에서의 제고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현재 다양한 금융기관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각 금융기업에서 진행하는 ‘1사1교 금융교육’이나 금융감독원의 온라인 금융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하지만 한정된 인원만 수강할 수 있기에 모든 학생이 교육을 제공 받기는 힘든 실정이다. 또한 단발성의 강의 형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금융 지식의 수준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서울디지털대 최미수(금융소비) 교수는 “고등교육 과정의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등 금융거래 시작 이전에 적절한 수준의 금융이해력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확대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손 교수는 “초·중·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현실경제 자료와 사례를 많이 활용해서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현실에서 응용 가능한 금융 지식을 지도하는 금융교육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금융교육보다 입시 교육을 우선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바뀌어야 하는 의견 또한 제시된다. 하지만, KDI에서 2021년에 진행한 ‘전 국민 경제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참여자의 88%가 ‘금융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작년, 『조선일보』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학생 중 97%가 ‘금융교육이 금융 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금융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들은 많이 존재한다. 금융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이들에 맞춰, 우리 사회의 인식 또한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