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상처
말의 상처
  • 허재영(교육대학원) 교수
  • 승인 2023.09.19 15:13
  • 호수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재영(교육대학원) 교수
허재영(교육대학원) 교수

개인적인 취향이겠지만 내게 박완서의 소설은 맛깔스러운 성찰의 시간을 제공해 준다. 강변 아파트 칠동 심팔층 삼호를 배경으로 하는 「황혼」에는 시어머니를 지칭하는 ‘늙은 여자’와 며느리를 지칭하는 ‘젊은 여자’가 등장한다. 어느 날 젊은 여자의 친구들이 시어머니가 만든 오이소박를 칭찬하자 하는 말이, “우리 집 노인네 솜씨야”라는 것이었다. “늙은 여자는 그 말이 섭섭해 며칠 동안 입맛을 잃었다.”, “감기 기운만 있어 봬도 노인네가 옷을 얇게 입으시니까 그렇죠.” 위로한다고 쓴 말이지만, 어떤 말이든 시어머니 마음은 편할 리 없다. 소설의 한 장면이니까 고부간의 갈등을 이렇게 표현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되돌아보면 가정 내에서나 주변의 친한 사람들에게 무심코 ‘노인네’라는 말을 쓸 경우도 있다. 더 심하면 ‘노친네’라는 말까지 서슴없이.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검색해 보면 ‘노친네’는 ‘노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돼 있다.


대학 입학 후 얼마 되지 않았을 때의 일이다. 서울 생활은 처음이었는데, 동기들 중 내 말투를 흉내 내는 친구들이 제법 있었다. 내 고향은 강원도 홍천이므로 내 말투는 서울 표준말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스스로 생각해 왔는데, 다소 억센 억양을 흉내 내는 것이 오히려 이상했다. 친근함을 표현하는 태도겠지 하다가 한 번은 가볍게 “지랄 그만해!”라고 말했다. 그 순간 그 친구의 얼굴이 험악해졌다. 사전적 의미에서 ‘지랄’은 ‘마구 법석을 떨며 분별없이 하는 행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나는 어렸을 때부터 이 말을 수도 없이 듣고 자랐다. 아마도 ‘속됨’의 의미보다는 ‘분별없이’ 또는 ‘과장된 행동’에 초점을 맞출 때 이 표현을 썼던 것 같다.


무의식적으로 표현한 말이 어떤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말의 상처’라고 부른다. 거리감이 없기 때문에 가벼운 욕설을 할 수 있다거나 낮잡아 쓰는 말을 쓸 수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도 제법 많다. 어쩌면 그것이 자신의 캐릭터라고 여기는지도 모르겠다. 더욱이 남을 위로한답시고 무심코 내뱉는 말은 청자의 상황에 따라 말의 상처로 남는 경우가 많다. 겸양의 표현으로 쓴 “저는 원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이 일을 맡게 됐습니다.”라는 말도 그 일을 맡을 수 없는 사람이 들었다면, ‘잘났어. 정말!’이라는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자신이 청자를 위해 무엇인가를 할 수 있음을 자랑스럽게 늘어놓을 경우도 청자의 입장에 따라 불편하게 들릴 경우도 적지 않다. 위로의 말도 마찬가지다. ‘말은 청자의 몫’이라는 말이 있다. 요즘은 그 어느 때보다도 배려하는 말하기, 배려하는 행동이 소중하게 느껴지는 시대가 된 듯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