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전공별 트렌드 교육이 답이다”
“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전공별 트렌드 교육이 답이다”
  • 송주연 편집장
  • 승인 2024.04.09 15:29
  • 호수 1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기술대 장승준 학장
장승준 과학기술대학장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다루는 학과의 전문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출처=홍보팀
장승준 과학기술대학장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다루는 학과의 전문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출처=홍보팀

천안캠에 위치한 과학기술대는 3개의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신소재공학과, 제약공학과, 경영공학과, 에너지공학과, 식품영양학과까지 8개의 학과가 소속된 대형 단과대다. 전체 학생 수는 2600여 명, 소속된 교수는 60여 명에 이른다. 본지는 과학기술대 장승준 학장(64)을 만나 그가 꿈꾸는 과학기술대의 미래를 들어봤다.

 

- 과학기술대 학과 조정이 올해 이뤄졌습니다.

“현재 우리 천안캠에는 과학기술 쪽으로 2개의 단과대학이 있습니다. 원래는 10개의 학과였으나 올해 학과 조정 후 8개의 학과가 됐습니다. 제약공학과가 과학기술대로, 생명과학전공, 미생물학전공, 식품공학과가 바이오융합대학으로 소속되면서 현재 약 2,500여 명의 재학생이 소속된 단과대학입니다. 사실상 선택과 집중이 이뤄진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기존 과학기술대학 내에 속해있던 바이오 관련 전공을 분리하고 소부장,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다루는 학과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 과학기술대는 어떻게 ‘트렌드 교육’을 추구해야 하는지요.

“실질적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 사회, 기업 등에서 진짜 필요한 사람을 만들어내는 것이 대학의 목표 아니겠습니까. 우리 학생들만 뒤처지지 않게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만들어 내는 것에 중점을 둬야 해요. 이를 위해 교수진도 지속적인 노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전망이 있는 분야가 생기면 관련 분야를 교수님들도 끊임없이 공부하셔야 합니다. 보통 기존 교수님들이 공부를 하시거나 새로운 교수님을 모셔 와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가 않습니다. 그러나 트렌드에 맞는 교육을 해야 우리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서 지식을 활용할 수 있어요.”

 

- 과학기술대만의 경쟁력이 궁금합니다.

“과학기술대의 장점은 클래식과 트렌디의 집합이라는 것입니다. 수학과라고 해서 고전적인 수학 혹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미적분, 일반 수학 등만 할 것으로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우리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기본입니다. 그것을 기초로 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해 교과목을 매 학기 개선하고 있습니다.”

 

- 과학기술대는 학과 내 유기성이 높습니다.

“과학기술대 내 학과들은 서로 융합돼 있습니다. 반도체에 대해 연구하려고 하면 수학과에서는 해당 반도체에 대한 빅데이터를 만들어내고, 물리학과는 고체 물류, 입자 연구 등을 계산해서 실험합니다. 기초 과학들은 근본적으로 여러 학문에 대한 밑바탕이 돼주고 에너지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의 융합학과는 사령관 역할을 하며 하나의 군으로써 움직이고 있습니다.”

 

천안캠 과학기술대

수학·물리학·화학 등 8개 학과 
학생 2600여 명, 교수 60여 명

 

트렌디 교육의 프론티어

기초과학과 융합과학 접목해 
교과목 개편해 과학 인재 양성

 

대기업과 협업 연구 활발  

‘현대’ ‘삼성’과 실무체험 교육 
학과별로 기업연계 장학금도

 

- 대기업 연구 과제 경쟁도 치열합니다.

“교수님들이 대부분 대기업하고 연구 과제를 많이 하십니다. 이제 기업 연구소에 있는 분들과 연구를 할 때,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교수님을 따라가게 됩니다. 학부생에게는 인턴십 정도라 생각하시면 되고, 대학원생들은 기업과 같이 연구와 개발까지 하니 회사에서는 함께 연구와 개발을 해본 석·박사 친구들에게 더 끌리게 됩니다. 이런 경우 학생들의 취업 접근성이 굉장히 높아집니다. 이러한 사례가 많아지게 되면, 자연히 열심히 하시는 교수님과 좋은 직장을 가진 선배들을 보고 후배 학생들이 그 길을 따라 걷게 돼있습니다. 신소재공학과는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에너지공학과는 ‘현대’, ‘삼성’ 등의 대기업과 함께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저희는 학생들에게 협업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공계에서 ‘천안’이 유리한 위치인지요.

“화학 관련 공장을 지을 때, 경기도까지는 유치가 불가능합니다. 공장이 못 들어서요. 허가가 난 지역 중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도시가 ‘천안’입니다. 그래서 천안 부근에 삼성 SDS 라인에 많은 회사들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회사가 수백 개씩 되는데요. 회사가 있으면 인력이 필요하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학과별로 트랙제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죽전캠에도 공대가 있는데, 두 단과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죽전의 공과대도 추구하는 것은 같습니다. 그럼에도 차이점은 천안캠은 과학기술대, 바이오융합대, 보건대, 의과대, 치과대 등의 이공 계열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연계할 이과 쪽 학과들이 많습니다. 공대 간 커뮤니티의 규모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과학기술대는 자대 대학원 진학률이 높은 편인지요.

“높은 편입니다. 그럼에도 이제 학교가 천안에 위치하다 보니 수도권으로 대학원을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확실한 비전을 가진 교수님들과 학생들의 역량이 합쳐져 시너지를 내는 경우는 자대 대학원 진학률이 높습니다. 요새도 학생들이 대학원에 많이 입학하는 추세입니다.”

 

- 기업과 연계해 받을 수 있는 장학금이 있는지요.

“과별로 있습니다. 더불어 과별로 많습니다. 이번에 바이오융합대학에서 올해부터 ‘코스메디컬 융합학과’를 모집했는데요. 이 학과가 만들어진 배경이 있습니다.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우리 학교에 기업에서 요구하는 학과를 만들어서 본인들한테 보내달라는 요구를 했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코스메디컬 융합학과’입니다. 코스라는 것은 화장품 분야, 메디컬은 제약 분야입니다. 이 코스메디컬 융합학과를 제안한 회사가 바로 `코스맥스’로,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점유율이 높은 화장품 회사입니다. 이 회사가 제안한 장학제도도 있어 특정 과이지만, 우리 학교 학생이 혜택받을 수 있는 장학제도가 마련돼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외에도 수학과, 화학과 등 과별로 기업과 연계해 지급되는 장학금이 있습니다.”

 

- 과학기술대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사안이 있나요.

“과학기술자의 위기라는 개념은 사실 국가 경제가 안 좋아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과학기술대가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사안은 바로 코로나19 학번이에요. 과학기술대의 과들은 사실 실험과 실습이 주가 되는 학문입니다. 그래서 3~4년 동안 학교를 안 온 학번들의 학습 공백이 너무 커요. 학과장 회의 소집 후 지금 군대를 갔다가 2학년으로 복학한 학생들을 학교에 적응시키기 위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교육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 있으신지요.

“제가 선생으로서 굉장히 가치 있게 느꼈던 순간이 있습니다. 바로 학생이 변화하는 것입니다. 평소 학생들과 면담을 적극적으로 하는 편인데, 저는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이렇게 얘기하곤 합니다. ‘면담 빨리 와라, 나는 너희들이 100명이 왔을 때 나하고 상담하고 5명이라도 목표 의식을 정확히 잡고 변화하는 사람이 나왔으면 좋겠다’라고 말하는데요. 그렇게 진심으로 조언했을 때, 학생들이 변하면 정말 보람 있습니다. 학생들의 반짝이는 눈동자를 보면 선생하기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과학기술대 전경
천안캠 과학기술대 전경

학생들을 사랑하는 ‘호랑이 선생님’
“선생은 출근하는 게 아니라 가르치러 오는 것” 

장승준 학장과 인터뷰를 하면서 그가 제자를 생각하는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장 학장은 인터뷰 내내 학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우리 ‘아이들’이라고 불렀다. 그는 학교에 출근할 때도 ‘출근’한다는 단어를 써본 적이 없다고 했다. 선생은 직장에 출근하는 게 아니라 가르치러 학교에 오는 것이라는 그의 말에 다시 한번 놀랐다. 장 학장은 ‘호랑이 선생님’이다. 제자들을 위한 쓴 소리를 아끼지 않는다. 쓴 소리도 애정이 있어야 나온다. 학생과의 1시간이 넘는 개별 면담도 학생을 아껴야 할 수 있는 것이다. 교육자로서, 선생으로서 사명감으로 똘똘 뭉친 장 학장은 이제 곧 마지막 제자를 맞을 준비를 한다. 1987년 단국대학교 수학과 이학사. 1989년 서강대학교 수학 이학석사. 1993년 서강대학교 수학 이학박사, 1995년 우리 대학 수학과 교수 부임. 2022년 과학기술대학 학장 취임.

 

 

송주연 편집장 zooyeon@dankook.ac.kr

송주연 편집장
송주연 편집장 다른기사 보기

 zooyeon@dankook.ac.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